▲ /김중배. 한국조명신문 발행인 겸 편집인. 조명평론가. ©한국건축신문 |
|
지난 2월 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돌비(Dolby) 극장에서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 우리나라의 봉준호 영화감독이 감독을 맡았던 영화 ‘기생충’이 감독상과 각본상, 국제극영화상에 이어 최고상인 작품상까지 모두 4개의 상(아카데미 영화상=오스카상)을 받았습니다.
우리가 모두 알고 있는 것과 같이 ‘기생충’은 한국인 영화감독이 감독을 맡고, 한국인 배우들만 출연하며, 한국의 영화제작사가 제작하고, 한국의 영화제작 투자사가 투자를 해서 만든 ‘100% 한국산 영화’입니다. 이 ‘기생충’이 올해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은 것은 92년에 이르는 ‘아카데미상’의 역사상 최대의 사건인 동시에 최대의 이변(異變)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아카데미상이 시작된 이래 92년 동안 비(非) 영어권에서 제작된 영화에 ‘아카데미상’을 준 것은 ‘기생충’이 처음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기생충’이 ‘아카데미상’을 받는 것을 계기로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나라에서 만든 영화는 아무리 잘 만들어도 ‘아카데미상’을 받지 못 한다”는 ‘아카데미상의 징크스’도 깨졌습니다.
◆‘아카데미상 92년의 징크스’를 깬 ‘기생충’
그 날 이후 오늘까지도 전 세계의 언론매체들은 ‘기생충’의 ‘아카데미상’ 수상에 대한 보도를 계속 내놓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기생충’으로 ‘아카데미상’ 작품상을 거머쥔 우리나라 국민들 사이에서도 ‘기생충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는 중입니다.
영화계 종사자나 시나리오 작가 지망생, 또는 영화 매니아가 아니면 “그런 것이 있는 지조차 몰랐던 영화 각본집(대본)까지 출판이 돼서 날개가 돋힌 듯이 팔리고 있다고 합니다. 인터넷 서점인 알라딘 관계자가 밝힌 바에 따르면 평소에는 하루에 15권정도 팔리던 각본집이 최근에는 하루에 수 백권 씩 판매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번에 ‘100% 한국산 영화’인 ‘기생충’이 세계 3대 영화제 가운데 하나인 ‘아카데미상’ 작품상 등 4개의 상을 받은 것은 한국 사람으로서 가슴이 뿌듯하고 자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기생충’의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이라는 놀라움과 기쁨에 들떠서 우리가 모두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올해 ‘기생충’이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은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기생충’에게는 ‘계획’이 다 있었다
우선 주목하게 되는 부분은 이번에 봉준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기생충’을 만드는데 들어간 제작비를 투자한 영화 투자·배급사인 CJ ENM입니다. 이 회사는 2003년 ‘살인의 추억’부터 ‘기생충’에 이르기까지 25년 동안 봉준호 감독이 감독을 맡는 영화 4편에 자금을 투자해 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CJ ENM은 2019년 5월에 ‘기생충’이 프랑스 ‘깐느영화제’에서 대상(大賞)인 황금종려상을 받은 직후부터 ‘아카데미상’의 투표권을 가진 ‘미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회원들을 대상으로 ‘아카데미상 수상을 위한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아카데미상’은 8400여 명에 이르는 ‘미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회원들이 투표를 해서 수상작품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카데미상’을 ‘할리우드판 대통령선거’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해서 CJ ENM은 ‘미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회원들을 대상으로 수 십 번의 시사회를 열었고, 시사회의 전후에는 리셉션과 파티 같은 ‘이벤트’를 열어서 ‘기생충 대세론’을 ‘만드는데’ 온힘을 쏟았다고 합니다. 이런 ‘아카데미 캠페인’에 CJ ENM이 투입한 경비만 1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92년 동안 비(非)영어권 영화에는 단 한 번도 ‘아카데미 작품상’을 주지 않은 것에 대해서 “아카데미는 보수적”이란 비판까지 추가되면서 할리우드에 “보수적이라는 비판을 받지 않으려면 ‘기생충’에 투표를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이처럼 ‘기생충’의 올해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에는 우리가 모르는 많은 ‘비밀’들이 숨어 있습니다. 그것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기생충’에게는 계획이 다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비밀들’이 주는 교훈에는 관심을 갖지 않은 채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이란 결과만 보고 환호하며 기뻐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글 : 김중배. 한국조명신문 발행인 겸 편집인. 조명평론가.